반응형

개발/깃 2

깃 작업 디렉터리의 상태를 확인해보자

깃 작업 디렉터리의 상태를 확인하려면 어떤 명령어를 사용해야 할까?결론적으로 git status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당연히 cd 명령어를 통해 상태를 확인할 작업 디렉터리로 이동해야 한다. 해당 명령어로 어떤 상태 정보를 얻을 수 있을까?현 작업 브랜치를 알 수 있다.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명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스테이징 상태를 알 수 있다.추적되지 않는 파일의 존재 여부와 추적 중인 파일 중 수정된 파일이 스테이징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그리고 스테이징 상태의 파일들이 수정됐는지, 새로운 파일인지, 삭제됐는지를 표시한다.여기서 추적중인 파일은 깃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파일을 의미한다.커밋 중단 상태를 알 수 있다.충돌로 인해 머지되지 않은 파일 목록을 알 수 있다. 명령어를 입력해보자명..

개발/깃 2024.11.16

깃 .gitignore 파일 무시하고 스테이징 하자

.gitignore 파일은 특정 파일의 스테이징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깃을 통해 며칠 전 작성한 도커 파일과 도커 컴포즈 파일을 깃허브에 업로드하려고 했다.그런데 git add . 명령어를 입력해도 아무런 파일도 스테이징 되지 않았다.알고 보니 .gitignore 파일에 *.yml 파일을 스테이징 하지 않도록 적어두었던 것이다.*.yml 파일을 스테이징 하지 않도록 했던 이유는 프로젝트 내 application.yml에 중요 정보가 적혀 있기 때문이었다.  그럼 도커 파일과 도커 컴포즈 파일은 어떻게 스테이징 할까?구글링을 하기 전, 너무 피곤해서 우리들의 친구 챗 지피티에게 다음과 같이 물어보았다. git add -f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고 한다.가끔 챗 지피티가 이상한 답변을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개발/깃 2024.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