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사실 이번 포스팅은 OCI와는 크게 관련이 없다.
- OCI 서비스 내 Zone 메뉴에서 도메인 등록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지만, 프리티어 계정을 사용 중이라면 계정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 업그레이드할 경우 사용한 만큼 결제하게끔 계정이 바뀌는데, 아직은 프로젝트 규모가 작아서 다른 방법을 찾아보기로 하였다.
도메인 구매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
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
www.gabia.com
- 도메인 등록 서비스는 가비아 외에도 많지만 사용해 본 적이 있어서 시간을 아끼고자 재방문하였다.
구매 후 프로세스
✅ DNS 관리툴 클릭

✅ 도메인 행의 [설정] 버튼 클릭

✅ [레코드 수정] 버튼 클릭

✅ 레코드 추가 및 작성

- 타입은 일반적인 경우 A로 지정하면 된다.
- A 타입은 서브 도메인을 지정할 수 있다.
- 호스트는 서브 도메인을 지정하기 위한 메타 값이다.
- 가령 호스트에 www를 입력하면 www.도메인으로 주소를 지정할 수 있다.
- 값/위치에는 인스턴스의 공인 IP를 지정할 수 있다.
- 인스턴스를 여러 개 돌릴 경우 레코드를 추가하여 새로운 호스트와 값/위치를 입력하여 저장하면 된다.
타입 정보

정말 간단한데, 까먹으면 또 번거로운 작업이 돼버릴까봐 정리해 보았다.
비용 때문에 이번엔 이렇게 했지만 사실 관리 포인트가 하나 더 늘어나는 측면에서는 프로젝트 규모가 클 경우 OCI Zone 메뉴를 통해 OCI 내에서 통합 관리를 하는 쪽이 좋을 것 같다.
이미지 출처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
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
www.gabia.com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ouble-shooting] LetsEncrypt HTTPS 인증서 발급 도입 (4) | 2025.05.01 |
---|---|
멋쟁이사자처럼부트캠프 백엔드 부트캠프 플러스 (5) | 2025.04.08 |
라즈베리파이 서버에 도커 컨테이너 환경으로 프로젝트를 배포하자 (6) | 2025.04.06 |
[미해결] 다른 서비스의 DB 데이터를 통합 조회할 수 있을까? (2) | 2025.04.02 |
이미저를 통해 라즈베리파이5에 우분투를 설치해보자 (2)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