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깃 작업 디렉터리의 상태를 확인하려면 어떤 명령어를 사용해야 할까?
- 결론적으로 git status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 당연히 cd 명령어를 통해 상태를 확인할 작업 디렉터리로 이동해야 한다.
해당 명령어로 어떤 상태 정보를 얻을 수 있을까?
- 현 작업 브랜치를 알 수 있다.
-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명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명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 스테이징 상태를 알 수 있다.
- 추적되지 않는 파일의 존재 여부와 추적 중인 파일 중 수정된 파일이 스테이징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 그리고 스테이징 상태의 파일들이 수정됐는지, 새로운 파일인지, 삭제됐는지를 표시한다.
- 여기서 추적중인 파일은 깃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파일을 의미한다.
- 커밋 중단 상태를 알 수 있다.
- 충돌로 인해 머지되지 않은 파일 목록을 알 수 있다.
명령어를 입력해보자
- 명령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다음과 같다.
-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명은 feature/react/01이다.
- 파일에 수정사항이 있지만 스테이징 되어 있지 않은 파일 목록들이 존재한다.
- 2번에 해당하는 파일들이 수정되었는지, 삭제되었는지 알 수 있다.
- 추적하지 않는 파일 목록들이 존재한다.
마치며
자주 사용하는 소스트리는 GUI 환경이다 보니 git status 같은 명령어 없이도 파일들의 상태를 알 수 있었다.
그런데 깃은 CLI 환경이라 명령어를 입력하더라도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 몰라서 잘 안 쓰고 있었다.
앞으로는 애용해야겠다. 😁
이미지 출처
Git: Empowering Collaboration and Version Control in Software Development
Introduction: In the world of software development, effective collaboration and version control are paramount to building high-quality applications. Git, a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 has revolutionized the way developers manage code, enabling seam
www.linkedin.com
'개발 > 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 .gitignore 파일 무시하고 스테이징 하자 (8) | 2024.11.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