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발 83

리액트 핵심만 훑어보자 #1 개요

📘 『소플의 처음 만난 리액트』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리액트를 공부하게 된 이유나는 여태껏 JSP와 제이쿼리를 통해 프론트단을 구현해 왔다. 이번에 토이 프로젝트로 REST API 서버를 개발하며 프론트단이 리액트일 경우 어떻게 요청을 하는지, 어떤 데이터가 어떻게 정렬되어 조회되어야 가공해서 렌더링 하기에 용이한지 공부하고 싶었다.사실은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님을 구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당장 본인 일정 조정에도 어려움을 겪어 결국 자급자족하기로 결정했다.그리고 뷰보다는 리액트가 참고할 수 있는 정보가 많을 것 같아서 리액트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책의 전반적인 부분을 나름대로 필터링해서 정리해 볼 생각이다. 🔥 리액트가 뭔데?대표적인 자바스크립트 UI 라이브러리다...

개발/리액트 2024.11.05

UML 찍먹해보자 그런데 이제 자바를 곁들인

왜 알아야 해?최근 자바 디자인 패턴과 리팩토링 관련 책을 읽었다. 두 책 모두 UML을 통해서 개념을 설명해 주었다.물론 친절하게도 책의 첫 장에서 UML 기초적인 부분을 다뤄서 책을 읽는 데는 문제가 없었지만, 나중에 프로젝트 진행할 때도 요긴하게 써먹을 수 있을 것 같아서 정리해 놓으려고 한다. 그래서 그게 뭔데?Unified Modeling Language의 약어로, 시스템을 시각화하고 문서화하기 위한 표현 방법이다. 클래스 다이어그램interface Executable {    abstract void execute();}abstract class ParentClass {    something _field1;    static int FIELD2;        abstract void meth..

개발 2024.11.04

도커 컴포즈를 통해 프로젝트를 컨테이너 환경에서 실행해보자

배포 환경스프링 부트 3.3.8 (ORM : JPA)JDK 17오라클 11g XE 왜 도커 환경에서 실행해야 할까?가령 백엔드, 프론트 개발자가 협업을 하고 있다고 하자.백엔드 개발자 입장에서 프로젝트를 공유하기 위해 프론트 개발자의 PC에 JDK, IDE, DB를 설치해야 한다고 하면 얼마나 번거로운가. 버전 맞추는 것만 해도 번거롭고 귀찮은 업무가 되어 버린다. 그냥 개발 환경 자체를 전달할 수만 있다면 정말 편하지 않을까?이때 필요한 것이 도커 컨테이너 기술이다.도커와 컨테이너에 관해서는 지금 다루지 않고, 책으로 공부한 내용을 따로 등록할 예정이다.  그래서 어떻게 할 건데?절차는 다음과 같다.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jar 파일로 빌드한다.dockerfile을 작성하여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도커..

개발/도커 2024.11.03